과민증(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대상자 간호
1. 알레르기 관리
1) 새로운 약물, 음식, 조영제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관찰하고 확인
2) 적절한 알레르기 검사를 하도록 도움
3) 확인된 알레르기원과 유발 물질을 피하게 함
4) 환경적인 알레르기원( 먼지, 곰팡이, 꽃가루 등)의 조절 방법이나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을 대상자와 가족에게 교육
5) 필요에 따라 탈감작요법을 적용
6) 대상자와 가족에게 에피네프린 주사 법(펜 형태)과 주의사항을 교육함
7) 모든 알레르기 반응을 프로토콜에 따라 의무기록지에 기록함
8) 대상자는 알레르기 대상자임을 알리는 팔찌를 착용하도록 함
2. 아나필락시스 관리
목표 : 적절한 환기와 조직관류를 증진시킴
1) 기도를 유지하고 체위는 좌위를 취해줌
2) 가능한 즉시 알레르기원 주입 부위(주사부위, 벌레 물린 자리 등) 상부에 지혈대를 적용함
3) 필요시 에피네프린(1:1000) 0.3~0.5ml를 피하로 투여
4) 마스크를 이용하여 고용량 산소를 10~15L/min 투여
5) 생리식염수, lactated ringer 액, 혈장증량제(plasma volume expander)를 IV 투여함
6) 두드러기, 혈관부종, 기관지 경련이 의심될 경우, 진경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함
7) 쇼크, 기도 폐쇄, 심부정맥, 위 내용물의 흡인, 발작 등의 징후를 관찰
8) 24시간 이내에 아나필락시스의 재발을 관찰
9) 대상자와 가족을 안심시킴
알레르기원에 따른 자가간호 교육
1. 꽃가루, 곰팡이
1) 꽃가루가 심하게 날리는 날은 실내에서 지냄
2) 바람 부는 날, 풀을 깎는 날에는 마스크 착용
3) 풀, 마른 낙엽이나 잡초와 접촉을 피함
4) 지하실같이 더럽고 축축한 장소는 되도록 피함
5) 일주일에 3-4번은 샤워와 통목욕을 함
6) 스프레이나 향수를 사용하지 않음
2. 집 먼지 진드기, 동물 비듬
1) 저알레르기 유발 매트리스와 베개 사용
2) 카펫을 나무, 타일, 리놀륨으로 교체함
3) 청소할 시에는 마스크를 꼭 착용
4) 겉천을 덮은 가구, 장식용 쿠션, 깔개, 촘촘한 침대보 등을 최소화함
5) 에어컨이나 온풍기를 사용할 대는 자주 공기 필터를 교체함
6) 물고기나 거북이같이 털이 없는 애완동물을 선택
3. 곤충 쏘기
1) 벌, 말벌이 있으면 그 자리를 최대한 빨리 피함
2) 개미, 다른 곤충을 피하기 위해 앉기 전 풀밭을 주의 깊게 확인함
3) 소풍, 등산, 캠핑을 할 때는 Epilpen(아드레날린 자가 주입 장치)을 가지고 다님
4. 음식물
1) 알레르기 증상과 관련 있는 음식을 추적하여 피해야 할 음식을 파악함
2) 피해야 할 음식의 목록을 만들어 집에서 요리하는 이에게 알림
3) 식품을 살 때는 성분표를 항상 확인 후 알레르기 유발 재료를 피함
4) 제공된 음식을 먹기 전 알레르기 유발 음식 재료가 포함되어 있는지 꼭 물어봄
5. 약물
1) 약물 알레르기에 대한 리스트를 만들어 의료진에게 알림
2) 아나필락틱 약물 반응이 있었던 경우라면 의료적 경고 팔찌를 착용
3) 알레르기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약에 대해서 약사와 함께 검토함
'간호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 저나트륨혈증의 간호 중재 및 계획 (0) | 2023.01.15 |
---|---|
성인간호학 - 격리환자 간호 , 공기-비말-접촉 감염 관리, 손위생 필 수 상황 (0) | 2023.01.11 |
성인간호학 - 아나필락시스의 약물요법 정리 (0) | 2023.01.09 |
성인간호학 - 자가면역질환 종류 (0) | 2023.01.08 |
[성인간호학] 하부기도 질환 정리 및 요약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