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간호학과10

성인간호학 - 고나트륨혈증 증상 및 간호 중재 1. 고나트륨혈증의 원인 1) 소듐 배설 저하 -알도스테론 과잉 -신부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과잉 -부신피질호르몬 과잉-쿠싱증후군 2) 소듐 섭취 증가 -과다한 소듐의 구강 섭취 -소듐 함유 정맥 주사액의 과다 주입 3) 수분 섭취 감소 -금식 4) 수분 소실 증가 -대사율 증가 -과다 환기 -체온 증가 -감염, 발열, 과도한 발한 -설사, 탈수 2. 임상 증상 1) 뇌기능 증상 초기에는 대상자의 혀와 입이 건조, 붉고 끈적거림 안절부절못하고 불안정한 모습 보임 혈청 소듐이 계속 증가하면 조증, 경련 보임 고혈량+고나트륨혈증 경우 기면, 혼미, 혼수 발생 2) 신경근육계 증상 근 긴장도의 증가, 심부전 반사의 감소 or 소실, 대사성 산독증, 섬망, 경련, 발작, 혼수, 죽음 3) 심혈관계 증상 심근세포.. 2023. 1. 15.
성인간호학 - 저나트륨혈증의 간호 중재 및 계획 1. 저나트륨혈증 [1] 원인 1. 소듐 배설 증가 -과도한 발한 -이뇨제 사용 -상처 배액(특히 위장관) -알도스테론 분비 저하 -고지혈증 -신장질환 ​ 2. 부적절한 소듐 섭취 -금식 -저염식이 ​ 3. 혈청 소듐 희석 -저장성 용액의 과도한 섭취 -정신성다갈증 -익사 직전 -신부전(신 증후군) -저장성 용액으로 세척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증후군 -고혈당 -울혈성심부전 ​ ​ ​ [2] 사정 1. 주관적 자료 -최근에 갈증은 어느 정도였나요? -물을 하루에 어느 정도를 마셨나요? -최근 소금이나 간장 등의 섭취 정도는 어떻게 되나요? -두통이 있나요? -기억력에 문제가 있나요? ​ 2. 객관적 자료 -수액 주입 중인지 -수분 중독증으로 인한 정신적 문제가 있는지 -전해질 불균형을 일으키는 이뇨제를.. 2023. 1. 15.
성인간호학 - 격리환자 간호 , 공기-비말-접촉 감염 관리, 손위생 필 수 상황 표준 감염관리 지침 1. 손 씻기 장갑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기타 오염물질을 만진 후에는 손을 씻음 2. 장갑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기타 오염물질을 만질 때는 깨끗한 장갑을 착용함 점막과 손상된 피부를 만지기 전에 소독 장갑을 착용함 3. 마스크, 보안경, 페이스 실드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이 튈 것이 우려되는 눈, 코, 입의 점막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함 4. 가운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기타 오염물질 등이 튀어서 의복이나 피부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으면 착용함 가운은 방수가 되어야 함 5. 간호 물품 혈액, 분비물, 배설물, 체액, 기타 오염물질 등이 피부와 점막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의복을 오염시키거나, 다른 대상자나 환.. 2023. 1. 11.
성인간호학 - 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간호 및 교육 , 알레르기별 자가간호 교육방법 과민증(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대상자 간호 1. 알레르기 관리 1) 새로운 약물, 음식, 조영제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관찰하고 확인 2) 적절한 알레르기 검사를 하도록 도움 3) 확인된 알레르기원과 유발 물질을 피하게 함 4) 환경적인 알레르기원( 먼지, 곰팡이, 꽃가루 등)의 조절 방법이나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을 대상자와 가족에게 교육 5) 필요에 따라 탈감작요법을 적용 6) 대상자와 가족에게 에피네프린 주사 법(펜 형태)과 주의사항을 교육함 7) 모든 알레르기 반응을 프로토콜에 따라 의무기록지에 기록함 8) 대상자는 알레르기 대상자임을 알리는 팔찌를 착용하도록 함 2. 아나필락시스 관리 목표 : 적절한 환기와 조직관류를 증진시킴 1) 기도를 유지하고 체위는 좌위를 취해줌 2) 가.. 2023. 1.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