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비염
1) 알레르기성 비염
외부 항원에 대한 비강점막의 반응으로 인한 염증
원인 : 알레르겐(꽃가루, 계절성, 곰팡이, 먼지, 동물)
증상
-알레르겐은 IgE와 반응하여 매개체 방출
-부종, 염증, 점액 분비 증가, 비혈관의 확장
-두통, 눈물 남, 가려움
치료
-알레르겐 없는 환경
-약물 (항히스타민제, 교감신경 자극제)
-면역요법 (탈감작요법)
중재
-예방 : 알레르겐과 분리, 먼지 생산 물질 제거
-부교감 자극 상황 피하기 : 알코올, 흡연, 기온과 습도 변화
2) 비알레르기성 비염
공기 온도, 습도, 냄새 같은 요소에 대한 비강 반응
원인 : 온도 변화, 습도, 냄새, 스트레스, 긴장 등
증상
-약물성 비염 : 국소 교감신경 자극제 과다 복용
-직접 접촉되는 점막에 국소적 증상
-비점막의 부종, 맑은 분비물, 결막의 충혈, 부종
치료
-약물 (항히스타민제, 교감신경자극제)
-부신피질 호르몬 비강 내 투여
중재
부교감 자극 상황 피하기 : 알코올, 흡연, 기온과 습도 변화
2. 부비동염
수술 후 간호 중재
-출혈, 복시, 발열 증상 관찰
-분비물을 삼키지 말고 뱉도록, 코는 풀지 않고 닦도록 설명
-수분 섭취 격려, 차가운 습기 제공
-전신마취 후 측위로 눕히고, 의식이 돌아오면 반좌위 변경 (배액 촉진 및 부종 감소)
-24-48시간 비강 거즈로 막고 코 위, 반상출혈 부위 얼음찜질 적용 (통증 완화, 혈관 수축)
-Valsalva 수기를 피하도록 교육
3. 인두염, 편도염, 후두염
중재
-휴식(체온 38도를 넘을 경우)
-고단백, 고칼로리 식이, 하루 2-3L 수분 섭취
-진통제 투여 (인후통, 발열 완화)
-따뜻한 식염수로 구강 함수 (NS 농도 : 물 500ml 당 소금 1tsp)
-목에 얼음
-후두염의 경우 성대 휴식, 지속적 쉰 목소리 시 후두경 검사 시행
편도선 절제술 후 간호중재
-출혈 모니터 (자주 삼키는 행동, 빈맥, 불안)
수술 후 1-2주 동안 기침, 코 풀기, 격렬한 운동, 무거운 짐 들기 피하도록 교육
-가습기 적용, 목에 ice ball 적용
-수술 초기 차가운 물, 부드러운 음식 제공 (ex. 얼음조각, 프루츠 젤리)
**빨대 사용 금지
-수술 후 즉시 기침으로 객담을 배출하지 않도록 교육
4. 비출혈
중재
-후비공 심지 (출혈 부위 확인할 수 없고, 비출혈이 멈추지 않을 때 시행)
-좌위 유지, 몸을 숙이도록
-비출혈 후 몇 시간 동안 코를 풀지 않도록 교육
-코 위에 얼음찜질 적용
-손가락으로 코의 비중격을 최소 5분 이상 압박
-혈액을 뱉어내도록 격려 (목 안에 축적된 혈액은 흡인, 오심, 구토 위험)
5. 비중격 만곡증
폐색이 있을 경우 비중격 성형술 시행함
중재
-출혈 사정 (반복적으로 삼키는 행동 관찰, 드레싱 부위 과다한 혈액)
-반좌위 체위 (국소 부종 감소)
-차가운 습기 적용, 코 부위 얼음찜질
-코풀지 않도록 교육
-충분한 영양섭취, 수분 섭취 권장
'간호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 아나필락시스의 약물요법 정리 (0) | 2023.01.09 |
---|---|
성인간호학 - 자가면역질환 종류 (0) | 2023.01.08 |
[성인간호학] 하부기도 질환 정리 및 요약 (0) | 2023.01.03 |
성인간호학 - Shock의 유형 간단 정리 (0) | 2023.01.01 |
성인 간호학 - 전해질 불균형 (1) (0) | 2022.12.25 |
댓글